간에서 분비되는 담즙은 콜레스테롤과 지방, 지용성 비타민을 장에서 쉽게 흡수되도록 만들어 소화를 도와줍니다. 뿐만 아니라 담즙은 특정 폐기물과 약물의 부산물을 체내에서 배출해 줍니다. 답즙을 운반하는 담관이나 담즙을 저장하는 담낭에 염증이 생기는 담낭염과 결석이 형성되는 담석과 같은 담낭질환의 증상과 식사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담낭질환의 종류와 증상
담낭염은 담낭이나 담관에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합니다. 주로 대장균 감염, 장내의 대장균이 십이지장의 담관 유두부까지 역류되어 감염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담낭염에는 급성담낭염과 만성담낭염이 있으며 담석, 패혈증, 쇼크, 화상, 암 등의 환자에게 많이 발병합니다. 급성담낭염은 갑자기 고열이 나고 오른쪽 상복부의 복통이 심하게 느껴집니다. 이 부분을 누르면 강한 통증이 있습니다. 때로는 구토와 구역질이 나기도 합니다. 만성담낭염은 가끔 발열 또는 미열이 있고 지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통증이 오며 일반적으로 복부의 불쾌감, 팽만감, 둔통 등을 느낍니다.
치료방법으로는 화학요법과 항생물질요법 등 내과적 치료에 의존하며, 일부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담석증은 담낭 및 담관 내에 담즙 성분의 결석이 형성된 것을 말합니다. 담석이 생긴 위치에 따라 담낭 안에 있는 결석을 담낭담석이라 하고, 담관 내에 있는 결석을 담관담석이라 합니다. 담석은 주성분에 따라 콜레스테롤 결석, 빌리루빈 결석, 혼합결석 등으로 분류합니다. 형태, 크기, 색, 수가 다양하며 큰 담석이 한 개만 존재하는 경우도 있고 작은 모래알만 한 담석이 수십 개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담낭에는 콜레스테롤 담석, 담관에는 빌리루빈 담석이 많습니다.
담석증은 담즙색소의 대사 이상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은 물에는 불용성이지만, 담즙 내에서는 담즙산염 등의 형태로 가용화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담낭의 기능 이상, 간 대사 이상, 감염, 고지방식 섭취 등으로 담즙 성분의 농도 변화 때문에 담즙 내에 용해되어 있던 콜레스테롤이나 담즙색소가 침전하여 결정화되고 담낭이나 담관 내에서 큰 결정이 되어 결석을 형성합니다.
담석증의 주요 증상은 갑자기 심한 통증이 상복부에서 일어나고 오한과 발열, 구토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상복부 전체에 통증을 느끼지만 차츰 진정되면 오른쪽 상복부에 국한되어 나타납니다. 다음 날 발열이나 황달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복통은 흥분, 과로, 음주 그리고 지방식을 먹을 때 담석이 담낭, 담낭관, 총담관 사이를 이동하면서 일어납니다.
일반적으로 담석이 담낭 내에 있을 때는 통증이나 황달이 나타나지 않고, 담낭관 내에 있을 때는 강한 통증은 있으나 황달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담석이 총담관 내에 존재할 때는 황달과 통증이 동시에 나타납니다.
담석의 진단은 X선 검사법, 담도조영법, 초음파 진단법 등으로 담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증상에 따라 치료 방법을 정하지만 보통 증상이 가라앉으면 내과적 치료를 통해 담석을 배출시키거나, 담즙의 배출을 촉진하는 이담제 등을 적용합니다. 그러나 심한 복통과 황달이 계속되거나, 담낭이 파열될 때, 복막염의 가능성 및 담낭염의 합병증 등이 있는 경우에는 담낭을 제거하는 외과적 수술을 하게 됩니다. 외과적 수술 외에도 담석을 화학적으로 용해시키는 방법과 기계적으로 파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화학요법으로는 콜레스테롤 담석을 용해시키는 약물-담즙체제를 이용하고 기계적인 방법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제거하거나 레이저로 담석을 파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 담낭염과 담석증의 식사요법
담낭질환 환자는 탄수화물을 에너지원으로 하고, 양질의 단백질과 소화가 잘되는 저지방의 식사를 하여야 합니다. 섬유질이 적고 자극성이 적은 식품을 이용하여, 과식하지 않으며 규칙적인 식사를 해야 합니다. 또한 각종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합니다.
담석증 발작이나 급성담낭염의 증상이 있을 때는 하루 동안 절식합니다. 통증이 완화되어 먹을 수 있게 되면 탄수화물을 주재료로 한 전유동식으로부터 차츰 저칼로리의 연식, 회복식, 일반식으로 이행합니다. 이때 환자에게 가능한 한 통증이 생기지 않도록 가스발생 식품의 섭취를 제한하고 담도계의 자극을 줄여서 안정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급성담낭염 및 담석증 환자 또는 수술 후의 담석증 환자의 경우,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식사요법을 진행합니다.
첫날, 단식하며 갈증이 나면 시원한 보리차나 작은 얼음 조각을 조금씩 먹게 합니다.
둘째 날, 아침에는 맑은 유동식, 점심은 전유동식을 줍니다.
셋째 날, 전유동식을 계속하며 미음에 채소 퓌레를 혼합하여 제공합니다.
넷째 날, 전유동식, 밥알이 약간 있는 진한 미음, 사과소스, 탈지우유, 잘 익은 으깬 바나나, 채소 퓌레 등을 줍니다.
다섯째 날, 아침은 전유동식, 점심과 저녁시사에는 연식으로서 5부 죽, 두부, 우유, 흰 살 생선요리 등을 줍니다.
여섯째 날 연식, 5부 죽, 시금치나물 또는 당근나물, 두부, 감자조림, 흰 살 생선국 또는 생선찜, 두부조림, 우유, 부드러운 과일 등을 줍니다.
일곱째 날, 연식, 전죽, 흰 살 생선국이나 생선찜, 우유 푸딩, 바나나, 잘 익은 복숭아, 영계백숙 등을 줍니다.
일주일쯤 경과 후엔 연식에서 점차 회복식으로 이행하며 회복경과에 따라 일반식으로 진행합니다.
만성담낭염 환자는 담석이 생기기 쉬우며 또한 담석이 생기면 담낭염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담석증과 만성담낭염은 영양관리를 하여 지방 급원식품을 제한하고, 식사에 의한 자극을 피하도록 합니다. 환자가 비만인 경우에는 열량을 제한하여 정상체중이 될 때까지 열량감량 식사를 해야 합니다.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의 진단과 식사 관리 (0) | 2023.02.28 |
---|---|
췌장질환 급성췌장염과 만성췌장염 (0) | 2023.02.28 |
간질환 급성간염의 분류에 따른 증상과 식사요법 (0) | 2023.02.26 |
과민성 대장증후군과 글루텐 민감성 장질환 (0) | 2023.02.26 |
급성위염과 만성위염 증상과 식사요법 (0) | 2023.02.24 |
댓글